1. 현상:
Linux를 콘솔로 접속할때는 문제 없으나, 원격접속(Telnet, SSH)으로 접속시 한글이 깨지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.
2. 원인:
이 경우, 원인은 둘중 하나이다.
가. 서버 측 인코딩 설정 문제
나. 원격접속툴의 인코딩 설정 문제
3. 해결 방안
서버와 원격접속툴의 인코딩 설정을 UTF-8로 통일한다.
CharacterSet의 경우 어떤걸 사용해야 한다는 권고는 없으나, 가급적 i18n, profile, JVM옵션, Appl. Source까지
동일한 캐릭터셋으로 통일하는 것을 권고한다.
상이한 설정을 사용할 경우, 서비스 한글깨짐이나 첨부파일 한글명 깨짐등이 발생할 수 있다.
가. 서버 측 인코딩 설정
[etc/sysconfig/i18n파일 수정]
LANG="ko_KR.UTF-8"
SUPPORTED="ko_KR.UTF-8:ko_KR:ko"
나 원격접속툴 인코딩 설정